[알기 쉬운 복합소재 이야기] 소재 혁신과 튼튼하고 지속 가능한 건축물
<p><img alt="" src="https://www.hcarbon.com/upload/ckeditor/297f9e26-d411-47f7-a132-376ad5a31095.jpg" style="width: 70%;" /></p>
<p> </p>
<p>"의식주"는 사람이 살아가는 데에 필수적인 3요소입니다. 그중 사람이 생활하는 공간인 <strong>주(住)</strong>는 개개인의 일상생활 및 삶의 영역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당대의 문화와 역사를 반영하는 중요한 상징물이기도 합니다. 특히 무엇보다 기술 혁신과 지속 가능한 미래를 모색하고 있는 현대 건축 산업에서, 복합소재는 기존의 건축 재료의 단점을 보완할 미래 신소재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이번 에피소드에서는 보다 튼튼하고 친환경적인 건물을 만드는 복합소재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p>
<p> </p>
<p> </p>
<p><span style="font-size:20px;"><strong>삶의 터전에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복합소재</strong></span></p>
<p> </p>
<p>복합소재는 다양한 산업에 두루 활용되며, 건축 산업에서도 역시 미래를 이끌어 갈 주역으로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뛰어난 물성을 지녀 금속, 콘크리트 같은 기존의 건축 재료를 보완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는 평가를 받아왔습니다. 현대 건축 산업에서 복합소재는 어떤 기능을 제공하고 있을까요?</p>
<p><br />
정답은 바로 <strong>'소재에 따라 무궁무진하다'</strong>입니다. 탄소 복합소재의 대표적인 장점인 경량성을 이용하면 건물의 무게를 줄일 수 있습니다. 무게가 줄어들면 설계에서 준공까지의 전체 공사 기간과 비용이 단축되며, 지진 발생 시 흔들림으로 인한 피해가 경감되는 효과도 있습니다. GFRP의 경우 디자인 자유도가 높아, 건물 외장재에 적용 시 원하는 건물의 디자인을 쉽게 구현하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종류에 따라 다른 물성을 가지는 복합소재는 건축 산업에서도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여 적재적소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p>
<p><br />
복합소재는 기능뿐만 아니라 친환경성으로 지속가능성에도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세계 건축 및 건설연맹 보고서에 따르면 건축 산업은 2020년 기준 전 세계 에너지 생산과 관련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47%를 차지했다고 합니다. 이처럼 기후 변화가 큰 화두로 떠오른 오늘날, 건물의 탄소 배출량은 어떤 소재를 선정하느냐에 따라 유의미하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건축에 내구성 및 내부식성이 높은 복합소재를 사용하면 유지보수 과정 단축을 통해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방지하며, 높은 단열성을 지닌 소재를 적용하면 냉난방 부하의 감소로 에너지 소모량이 줄어듭니다.</p>
<p> </p>
<p><br />
<span style="font-size:20px;"><strong>건축 자재에 적용되는 한국카본의 복합소재 제품</strong></span><br />
</p>
<p><img alt="" src="https://www.hcarbon.com/upload/ckeditor/3b232500-8b7c-45c0-ba97-a8e3bca4db98.jpg" style="width: 70%;" /></p>
<p> </p>
<p>한국카본이 생산하는 대표적인 건축용 소재는 뛰어난 물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목표 사양에 맞춰 개발 및 적용되고 있습니다.</p>
<p><br />
구조재는 건축물의 하중을 지탱해 안정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strong>CARBONEX®</strong>는 구조재에 접착하여 건축물을 튼튼하게 보강하고 안정성을 향상하는 한국카본의 건축 보강용 복합소재입니다. 기존 구조물에 추가로 부착하여 시공함에도, 탄소섬유 특유의 경량성 덕분에 건물의 전체 중량에 가해지는 부담은 0에 가깝습니다. 수지를 통해 붙이는 간단한 시공 과정 덕분에 다양한 모양의 구조물에 적용이 가능하며, 한번 접착이 완료되면 반영구적으로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p>
<p><br />
건축 내외장재는 건물의 외관 및 품질을 결정하는 역할로, 흔히 마감재라고도 부릅니다. 최근에는 단순히 디자인뿐만 아니라 난연, 단열 등의 다양한 성능을 지녀 쾌적하고 안전한 환경을 구축하는 기능성 제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한국카본 Innovation Incubation Center 외장재 패널에 적용된 <strong>GFRP </strong>복합소재는 단열성뿐만 아니라 가소성이 높다는 특징을 지녀, 기능 향상은 물론 우아한 곡면을 통해 상징적인 디자인을 완성하고 있습니다.</p>
<p><br />
한편 한국카본의 대표 제품이기도 한 <strong>유리섬유 페이퍼</strong>는 우수한 평활성과 인쇄성, 가공성 덕분에 바닥장식재로 주로 사용됩니다. <strong>AOP™</strong>(Aluminum Opti-Insulate Paper),<strong> AAF™</strong>(Attached Finishing with Aluminum Foil)는 유리섬유 페이퍼를 알루미늄 포일 등의 다양한 물질과 합지하여 만든 제품으로, 우수한 난연성 및 단열성을 지녀 건축물의 단열재 표면재로 사용됩니다. </p>
<p> </p>
<p> </p>
<p><span style="font-size:20px;"><strong>한국카본의 혁신, 국내 건축 산업 발전을 앞당기다</strong></span></p>
<p><br />
한국카본은 건물 내장 인테리어 소재와 외부 단열 구조 소재, 지붕 및 터널, 교각의 방수 소재를 비롯한 고기능성의 제품을 건축 산업에 제공하고 있습니다.</p>
<p><br />
특히 유리섬유 페이퍼의 경우 한국의 전통적인 좌식 생활과 온돌 문화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바닥 난방에도 변형되지 않도록 열에 의한 수축과 팽창을 최소화하였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존의 일본 업체 제품보다 뛰어난 품질의 소재를 저렴한 가격에 공급함으로써 해당 업체를 국내 시장에서 철수시켰고, 동남아, 유럽 등 세계 각지에 수출함으로써 외화 획득에 기여했다는 업적을 자랑합니다.</p>
<p> </p>
<p><br />
이상으로 건축 산업에 적용되는 복합소재와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복합소재 전문 기업 한국카본은 기능성과 친환경성을 높인 다양한 건축 소재를 개발하여 보다 이로운 건축 산업의 미래를 열어가고 있습니다. 다음 스토리에서 또 다른 유익한 이야기로 만나 뵙겠습니다!<br />
</p>
- Composites
- Construction
- Eco-friendly
- Glass Paper
- CARBONEX®
- GFRP
- AOP™
- AAF™
자세히 보기